CS

네트워크 개념

gbleem 2025. 3. 13. 15:36

1. 네트워크의 기본구성요소


1 - 1. 노드

  • 네트워크의 기본 단위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모든 장치)
  • 엔드노드와 중간 노드가 존재
  • 기능
    • 통신 : 다른 노드와의 데이터 교환
    • 라우팅 : 데이터가 최적의 경로를 찾도록 경로 선택
    • 데이터처리 : 데이터 패킷화, 패킷 분할/재조립, 오류 검사
    • 네트워크 관리 : 상태감시, 트래픽관리, 보안
  • 예시
    • 컴퓨터, 라우터, 스위치, 모바일기기 

1 - 2. 링크

  • 노드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연결장치
  • 예시
    • 유선: 이더넷, 광섬유, 케이블
    • 무선: wifi, 블루투스

1 - 3. 프로토콜

  • 데이터의 전송 규칙
  • 예시
    • TCP, UDP, HTTP, HTTPS, FTP 등

 

 

2. 네트워크의 배치형태


2 - 1. P2P

  • 두대의 컴퓨터를 직접 케이블로 연결함
  • 현재는 안쓴다.

2 - 2. 버스

  • 1개의 케이블로 여러대의 컴퓨터 연결
  • 전체에 브로드캐스팅을 하면, 자신에게 오는 정보만 받고 다른 것은 무시한다.
  • 단, 두개 이상이 브로드캐스팅을 하여 정보가 충돌하면 정보가 무시된다.
  • 현재는 안쓴다.

2 - 3. 링

  • 버스에서 발생하는 브로드캐스팅 충돌 현상을 보완한 방식
  • 현재는 안쓴다.

2 - 4. 스타

  • 중앙에 허브나 스위치를 둔 형태
  • 많이 쓰는 방식이지만, 중앙 허브나 스위치가 고장나면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가 먹통이 된다.

2 - 5. 메쉬

  • 1 : n 구성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신뢰성은 높지만 비용이 비싸서 은행이나 군사용으로 사용

2 - 6. 트리

  • 스타(2 - 4) 토폴로지를 확장한 형태
  • 라우터를 두어 안정성을 높인 형태
  • 회사나 IDC 센터 등에서 사용

 

 

3. 네트워크 레이어


3 - 1. 물리 계층(L1)

  • 물리적 매체
  • 케이블, 전기신호, 광신호를 직접 관리
  • 이더넷, USB, 블루투스 디바이스

3 - 2. 데이터링크 계층(L2)

  • 물리계층에서 전달된 비트프레임으로 변환
  • 에러 검사, 흐름 제어
  • MAC address, MAC 프로토콜, PPP(Point to Point Protocol)
  • L2 스위치 사용 : MAC 주소 테이블을 참조

3 - 3. 네트워크 계층(L3)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옮기는 역할
  • 패킷의 경로를 결정하고 패킷 주소를 관리(라우팅)
  • IP, IPX, 라우터
  • L3 스위치 사용: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

3 - 4. 전송 계층(L4)

  • 데이터 전송을 관리
  • 흐름제어, 오류제어, 세그먼트화, 연결설정 및 해제
  • 논리적 포트 사용
  • TCP, UDP
  • L4 스위치 사용: 포트번호 참조

3 - 5. 세션 계층(L5)

  • 통신의 세션을 설정 및 관리
  • 데이터 교환 동기화와 체크포인트 관리
  • RPC(Remote Procedure Call)

3 - 6. 프레젠테이션 계층(L6)

  • 데이터 형식을 변환
  • 암호화 및 압축처리
  • SSL/TLS, JPEG, MPEG

3 - 7. 어플리케이션 계층(L7)

  •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근하고 UI 제공 담당
  • HTTP(웹), FTP(파일), SMTP(이메일), DNS
  • L7스위치 사용 : 데이터 참조

 

<유튜브 접속 예시로 네트워크 계층이 하는 일 알아보기>

  • 응용 계층)
    • 웹 브라우저에서 유튜브 주소를 입력
    • 브라우저가 HTTP 요청 보냄
  • 프레젠테이션 계층)
    • 동영상에 해당하는 파일 압축 및 해제
  • 세션 계층)
    • 로그인 상태 유지 (쿠키/세션 관리)
    • 스트리밍 연결 유지
  • 전송 계층)
    • 영상 데이터를 TCP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
    • 라이브 스트리밍은 UDP로 전송
  • 네트워크 계층)
    • 유튜브 서버의 IP 주소 찾기 (DNS 사용)
    • 데이터가 올바른 경로로 전달되도록 라우팅
  • 데이터링크 계층)
    • MAC주소 기반으로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 이동
  • 물리 계층)
    • wifi 혹은 LAN 케이블로 실제 데이터 전송

 

<OSI 7계층 VS TCP/IP 5계층> 

 

출처: https://velog.io/@euisuk-chung/%EB%84%A4%ED%8A%B8%EC%9B%8C%ED%81%AC-%EA%B3%84%EC%B8%B5-OSI-7%EA%B3%84%EC%B8%B5-vs-TCP-5%EA%B3%84%EC%B8%B5

  • 7계층을 좀 더 실생활에 적합하도록 간소화 시킨 것이 TCP/IP 4,5 계층이다.
  • 각 계층을 비유하여 설명
    • Application
      • 사용자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의도에 맞게 포맷팅되어 전송 준비를 한다.
      • 편지를 작성하고, 봉투에 넣어 주소를 적는것
    • Transport
      • 데이터의 전송이 신뢰성(TCP) 혹은 속도(UDP) 무엇을 우선시 할지를 결정하여 데이터가 전송될 준비를 한다.
      • 등기우편 및 퀵우편 등을 선택하기
    • Network
      • 데이터 패킷이 IP 주소를 사용해 최적의 경로로 전송, 다양한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라우팅 담당
      • 편지가 우체국 네트워크를 통해 가장 효율적인 경로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과정
    • Data Link
      •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 장비 간의 올바른 물리적 연결(MAC 주소)을 통해 전달, 주소 지정, 프레임 생성 오류 검출 등
      • 편지가 지역 우체국에 도착후 정확한 아파트 동 호수로 전달되는 과정
    • Physical
      • 데이터가 전기적, 광학적 신호로 변환되어 실제 통신 매체(케이블, 광섬유, 무선 등)를 통해 전송된다. 
      • 편지가 실제로 우편함에 도착하는 과정

출처: https://velog.io/@jwkim/cs-nw-osi-tcp-ip

 

동작 방식에 대한 모습

 

 

4. 네트워크의 유형


4 - 1. PAN (Personal Area Network)

  • 개인용 네트워크로 짧은 거리 통신
  • 블루투스, NFC등

4 - 2. LAN (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통신망
  • 사무실, 집, 학교 등

4 - 3.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도시단위 통신망
  • 도시 내, 공공기관

4 - 4. WAN (Wide Area Network)

  • 광역 통신망
  • 다국적 기업의 지사 연결, ISP 네트워크

4 - 5. Internet

 

 

5. 대표적인 프로토콜


5 - 1. TCP

  • transport 계층에서 동작
  • 데이터를 보낸 후 수신확인 (핸드셰이크)
  • 안정성!

5 - 2. UDP

  • transport 계층에서 동작
  • 데이터를 보내기만 하고 끝
  • 빠름!

5 - 3. IP

  • network 계층에서 동작
  • IP주소를 사용해서 패킷을 옮기는 역할

5 - 4. QUIC

  • 최근 개발되고 있는 프로토콜
  • TCP의 안정성과 UDP의 속도를 둘 다 챙김

 

 

6. MAC address


MAC 주소

  • "데이터 링크 계층"을 위한 고유 주소 체계
  • 네트워크 장비에 하나씩 할당

 

 

7. IPv4


IPv4

  •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체계
  • IP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ARP 사용

 

 

8. IP 포트


"전송 계층"에서 IP주소와 함께 사용하는 특정 프로세스나 서비스를 연결하기 위한 주소 체계

 

 

9. 도메인 이름 (DNS)


IP주소를 외우는 것 대신 기억하기 쉽도록 사용하는 이름

DNS를 통해서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

 

 

10. 네트워크 장비


10 - 1. HUB

  • 과거 스위치 역할을 하던 기기

10 - 2. 스위치

  • LAN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
  • MAC address 전달

10 - 3. 라우터

  • 네트워크 간 IP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10 - 4. 모뎀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10 - 5. 방화벽

  •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해줌

10 - 6. VPN

  • IP 주소가 VPN주소로 변경
  • 추적에 안전, 우회접속 가능

10 - 7. 캐시 서버

  • 변경이 자주 일어나지 않는 것들을 저장해두고 빠르게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