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언리얼 Git LFS
언리얼 엔진과 깃을 통해 팀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 앞서, 대용량 처리를 하도록 도와주는 Git의 LFS에 대한 특강을 듣고, 관련 세팅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언리얼 git LFS 설정
git lfs track "*.uasset"git lfs track "*.umap"1. github을 통해 리포지토리 만들기github에서 new를 통해서 새로운 리포지토리를 만들어주면 된다.언리얼 엔진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gitignore를 언리얼 엔진을 추
gbleem.tistory.com
추가적으로 "파일 잠금" 시스템도 플러그인을 통해 추가하여 사용해 보았습니다.
그러나 체크아웃에 실패하는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 에러 메시지
- 여러 시도들
- 이상하게도 다른 팀원들이 해당 리포지토리를 clone하였을때는 체크아웃이 제대로 이루어졌고
- 다른 내 깃허브 계정을 통해서 체크아웃을 시도하였을때도 제대로 동작하였습니다.
- 안되는 이유를 아직 파악하지 못했는데, 좀 더 원인을 파악해서 해결해야할 것 같습니다.
해결한다면, 해결 방안을 정리할 예정입니다....
2. 해결 방안
아무리봐도 계정 관련 문제라고 생각해서, 계정에 대한 정보를 찾다가 Git Bash로그인에 대한 정보를 접하게 되었고 아래 블로그에서 도움을 받아서 기존 로그인 정보를 초기화 하는 시도를 하였습니다.
가장 큰 문제점은 현재 깃허브 계정이 두개를 사용하는데, 그 두가지 설정이 엉킨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2 - 1. 기본 세팅
https://hoohaha.tistory.com/31
[GitHub] Git Bash에서 로그인한 계정 변경하는 법
git을 다룰 때 계정을 변경해야 할 때가 있다. 본인은 처음 git을 다룰 때 여러 계정을 생성했었고 해당 과정들로 인해 몇몇 문제가 발생했었다. 그중에서 git bash에서 로그인한 계정을 변경했고 해
hoohaha.tistory.com
- 제어판 -> 사용자 계정 -> 사용자 계정 -> 자격 증명 관리 -> windows 자격 증명
- 아래의 두가지가 깃허브 관련 정보였는데, 아래 두가지 설정이 다른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 위 네모중 아래에 세팅된 계정을 위의 계정으로 바꾸기 위해서,
- 계정 제거 후
- git push 명령어를 통해 새롭게 로그인을 하면 됩니다.
- 아래 처럼 같은 계정으로 설정된 모습
2 - 2. 테스트
- 테스팅 액터 생성한 후, 저장하면 아래와 같이 ? 표시가 뜨게 됩니다.
- 우클릭 -> 리비전 컨트롤 -> 새로고침 클릭 -> 체크아웃 클릭 -> 커밋 진행 하면 아래와 같이 체크 표시로 바뀌게 됩니다.
- 성공!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day 42 (0) | 2025.02.18 |
---|---|
TIL day 41 (0) | 2025.02.17 |
TIL day 39 (0) | 2025.02.13 |
TIL day 38 (3) | 2025.02.12 |
TIL day 37 (1) | 2025.02.11 |